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있어서 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벤담)과 의무론적 윤리관(칸트) 비교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6:39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있어서 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벤담)과 의무론적 윤리관(칸트) 비교분석.hwp
(2) 타인에 대한 합당한 기대를 할 수 없어서, 공리의 극대화 전술이 무용지물이고, 그래서 공리주의의 목적 자체를 달성하는데 실패한다. 예를 들어 타인과 관련된 행위인 약속의 경우, 타인의 행위에 대한 선행…(To be continued )
설명
순서
%EA%B3%BC%20%EC%9D%98%EB%AC%B4%EB%A1%A0%EC%A0%81%20%EC%9C%A4%EB%A6%AC%EA%B4%80(%EC%B9%B8%ED%8A%B8)%20%EB%B9%84%EA%B5%90%EB%B6%84%EC%84%9D_hwp_01.gif)
%EA%B3%BC%20%EC%9D%98%EB%AC%B4%EB%A1%A0%EC%A0%81%20%EC%9C%A4%EB%A6%AC%EA%B4%80(%EC%B9%B8%ED%8A%B8)%20%EB%B9%84%EA%B5%90%EB%B6%84%EC%84%9D_hwp_02.gif)
%EA%B3%BC%20%EC%9D%98%EB%AC%B4%EB%A1%A0%EC%A0%81%20%EC%9C%A4%EB%A6%AC%EA%B4%80(%EC%B9%B8%ED%8A%B8)%20%EB%B9%84%EA%B5%90%EB%B6%84%EC%84%9D_hwp_03.gif)
%EA%B3%BC%20%EC%9D%98%EB%AC%B4%EB%A1%A0%EC%A0%81%20%EC%9C%A4%EB%A6%AC%EA%B4%80(%EC%B9%B8%ED%8A%B8)%20%EB%B9%84%EA%B5%90%EB%B6%84%EC%84%9D_hwp_04.gif)
%EA%B3%BC%20%EC%9D%98%EB%AC%B4%EB%A1%A0%EC%A0%81%20%EC%9C%A4%EB%A6%AC%EA%B4%80(%EC%B9%B8%ED%8A%B8)%20%EB%B9%84%EA%B5%90%EB%B6%84%EC%84%9D_hwp_05.gif)
%EA%B3%BC%20%EC%9D%98%EB%AC%B4%EB%A1%A0%EC%A0%81%20%EC%9C%A4%EB%A6%AC%EA%B4%80(%EC%B9%B8%ED%8A%B8)%20%EB%B9%84%EA%B5%90%EB%B6%84%EC%84%9D_hwp_06.gif)
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와 밀의 공리주의의 의미와 분류, 문제점과 칸트의 선의지, 의무, 정언명법, 특히 윤리공동체에 대해
,인문사회,레포트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와 밀의 공리주의의 의미와 분류, 문제점과 칸트의 선의지, 의무, 정언명법, 특히 윤리공동체에 대해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있어서 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벤담)과 의무론적 윤리관(칸트) 비교분석인문사회레포트 ,
다. 쾌락을 향유하는 것은 인간 능력의 일면이다. 왜냐면 세상에는 자유가 아니라 복종을 즐기며, 사랑에서가 아니라 증오에서, Eh한 생산성 일에서가 아니라 착취에서 쾌락을 얻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쾌락 대신에 `인간 본성의 법칙에 따라 인간의 능력을 전개시키는 것`을 선으로 제시하였다.
Download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있어서 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벤담)과 의무론적 윤리관(칸트) 비교분석.hwp( 53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있어서 목적론적 윤리관(공리주의 철학관, 밀, 벤담)과 의무론적 윤리관(칸트) 비교分析(분석)
레포트/인문사회
Ⅰ. 功利主義
1. 功利主義의 의미
2. 功利主義에 대해
3. 功利主義의 反論(批判) 및 問題點
Ⅱ. 칸트
1. 선의지
2. 의무
3. 정언명법
4. 윤리적 공동체
Ⅲ. 결론
2) 快樂主義에 대한 反論
(1) 다윈 功利主義 : 숙고된 우리의 도덕판단을 만족시킬 수 없다. 예컨대 공리주의에 따르면,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것이 옳을 수도 있고, 죄가 없는 사람을 처벌하는 것이 옳은 경우도 있다아
(2) 시지익(H. Sidgwick) : 쾌락 이외에도 그 자체도 추구되는 것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인간의 지식, 덕성, 종교, 의미 등에 대한 모든 욕구를 쾌락에 대한 욕구로 환원한다면 심리적 쾌락주의가 옳을지도 모른다.
(2) 最大 幸福과 最大 多數의 原理는 서로 상충할 수 있다아
(3) 벤담의 公式과 한계 효용체감의 법칙은 경험적으로 검증되어야 하는데 법칙과 公式 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인간의 잠재능력을 전체적으로 실현하는 자기 실현이 선으로 고려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4) 行爲 功利主義의 問題點
(1) 숙고된 도덕판단과 부합하지 않는다.
(3) 프롬(E. Fromm) : 쾌락은 가치의 기준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3) 벤담의 功利主義에 대한 問題點
(1) 功利主義의 原理에 따르면 개인적인 자유와 같은 다른 가치들이 희생되어 기분적인 직관에 위배된다된다. 그러나 매우 이질적인 인간의 욕구를 모두 쾌락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환원하는 것이 단순성에 의미가 있을지도 모르나 심리적 쾌락주의가 인간의 모든 행동을 단순한 원리로 설명(explanation)할 수 있겠지만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