實驗 학교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12:47
본문
Download : 실험 학교 이야기_2100999.hwp
그리고 ‘해’는 태양을 가리키는 우리말이고 ‘검’은 하늘의 옛말이다.
實驗학교
순서
실험 학교 이야기 감상문 입니다. 실험학교 , 실험 학교 이야기공학기술레포트 ,
實驗 학교 이야기




Download : 실험 학교 이야기_2100999.hwp( 21 )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우리 색 가운데 가장 기본되는 색을 나타내는 낱말은 ‘붉다’, ‘푸르다’, ‘누르다’, ‘희다’, ‘검다’인데 이 형용사들은 저마다 ‘붉’, ‘풀’, ‘눌’, ‘해’, ‘검’에서 나왔다. 이 다섯 가지 색을 나타내는 또 다른 낱말들, 다시 말해서 ‘빨갛다’, ‘파랗다’, ‘노랗다’, ‘하얗다’, ‘까맣다’는 ‘벌겋다’, ‘퍼렇다’, ‘누렇다’, ‘허옇다’, ‘거멓다’나 마찬가지로 ‘불 같다’(불과 같다), ‘풀 같다’(풀과 같다), ‘눌 같다’(눌〔누리〕 같다), ‘해 같다’(해와 같다), ‘검 같다…(省略)
다.레포트/공학기술
實驗 학교 이야기 感想文(감상문) 입니다. ‘붉’은 ‘불’의 옛말이고 ‘풀’은 예나 지금이나 산과 들에서 자라는 ‘풀’이고 ‘눌’은 땅의 옛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