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과 만난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13:26
본문
Download : 현실과 만난 철학.hwp
하지만 정작 유림은 이런 점에 대상으로하여 아무런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프랑스에서는 1968년을 기점으로 학생과 선생이 서로를 지칭하며 ‘당신’이라…(skip)
현실과 만난 철학에 대한 글입니다. . 저자가 다룬 생명력 있는 유학이나 오늘날 죽어가는 유학이나 둘다 같은 유학이다. 한대 경학이 가졌던 adaptation(적응) 력이 특별한 것이 아니었음은 100년 전 서양에서 새로운 사상들이 쏟아져 들어올 때 china의 유학자들이 취했던 태도를 살펴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아
china의 마지막 대유(大儒) 캉유웨이는 그의 저서 『대동서(大同書)』(1935)에서 여성과 남성이 완전히 동등한 사회를 꿈꾸었고 한발 더 나아가 장유유서(長幼有序) 이념까지 완전히 개변하자는 주장까지 하였다. 한국 사회에서도 가끔은 존칭어 사용과 같은 나이를 중심으로 한 예법이 민주적인 의견 전달에 방해가 됨을 지적한다. 모든 인간이 정신적인 윤회에 의해 태어나므로 나이 차이는 우연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특별히 예의를 갖출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캉유웨이로부터 70년이 지났지만 한국 사회에서 장유유서 이념을 개변하자는 주장을 한다면 유교적 질서에 젖어 있는 부류로부터 엄청난 비난을 받을 것이다.
박재원은 그의 책에서 adaptation(적응) 력이 매우 뛰어난 특이한 유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닐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현실과 만난 철학
현실과만난철학
설명
Download : 현실과 만난 철학.hwp( 58 )
다.현실과만난철학 , 현실과 만난 철학인문사회레포트 ,
ㄱ. 우선 유학이 변해야 한다.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현실과 만난 철학에 대한 글입니다.